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 강아지랑 한 달 살기 (추천지, 숙소 예산, 함께 해볼 일)

by silverluna 2025. 7. 3.
반응형

제주 한 달 살기 관련 사진

반려견과 제주에서 한 달을 살아보는 ‘사는 여행’은 단순한 여행 그 이상입니다. 일상을 잠시 옮겨 자연과 함께 숨 쉬고, 반려견과의 시간을 깊이 있게 누릴 수 있는 시간이죠. 하지만 단순히 숙소만 구한다고 되는 건 아닙니다. 지역 특성, 임대비 현실, 생활 여건, 그리고 무엇보다 반려견의 습성과 안전을 고려해야 제대로 된 ‘한 달 살이’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반려견 동반 제주 한달살기를 꿈꾸는 보호자들을 위해 추천 지역, 현실적인 숙소 예산과 구하는 방법, 제주에서 꼭 함께 해볼 경험들을 정리해드립니다.

한 달 살기 추천지

제주는 지역마다 분위기와 생활 편의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한달살기를 위해서는 단순한 숙소가 아닌 지역 선택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반려견과 함께 살아볼 제주라면, 그에 맞는 자연환경·산책코스·숙소 여건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반려견 보호자에게 실제로 좋은 평가를 받은 지역을 중심으로 3곳을 소개합니다.

1. 애월읍 – 도시와 자연의 균형, 가장 인기 있는 반려견 동반지
애월은 제주시와 가까우면서도 해안 산책로와 감성 카페가 조화를 이루는 지역입니다. 곽지과물해변, 한담해변 산책로는 하루 두 번 이상 산책을 즐기기에 최적이고, ‘몽이네카페’, ‘바다보는카페’ 같은 반려견 동반이 가능한 공간도 곳곳에 있습니다. 숙소는 원룸형부터 마당 있는 독채형까지 다양하며, 24시 동물병원도 차량 10분 내에 있어 보호자에게 큰 안심을 줍니다. 다만 인기가 많아 숙소비가 다소 높은 편이며, 성수기에는 예약 경쟁도 치열합니다.

2. 구좌읍 세화·하도 – 조용하고 한적한 시골 감성, 중대형견 보호자에게 추천
세화와 하도는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한 달을 보내고 싶은 이들에게 딱 맞는 지역입니다. 모래사장과 이어지는 해안 산책로, 해변 앞 독채 숙소, 차량 5분 거리의 수제 간식 가게 등 반려견과의 조용한 생활을 위한 모든 조건이 갖춰져 있습니다. 특히 중형견이나 대형견을 키우는 보호자들이 마당 있는 숙소를 찾을 때 이 지역을 선호합니다. 단점은 병원, 마트, 카페 등 인프라가 적기 때문에 렌터카는 필수입니다.

3. 서귀포 하효동 – 성인 전용 숙소 많은 조용한 남부 지역, 시니어 보호자에게 적합
하효동은 제주 남부의 전형적인 조용한 마을입니다. 외돌개 산책로, 정방폭포, 법환포구 등 도보 산책로가 많고, 대부분 언덕이 없어 노령견에게도 부담이 적습니다. 성인 위주로 운영되는 독채형 숙소가 많아 짖음 소음에 민감한 이웃 문제를 줄일 수 있고, 투숙객도 비교적 조용한 편입니다. 다만 카페나 병원은 애월만큼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미리 위치를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견 동반 숙소 임대비 예산과 구하는 방법 (2025 실전 가이드)

한 달이라는 시간은 ‘머무는 여행’이 아니라 ‘사는 일상’입니다. 그래서 숙소 선택은 단순한 가격 비교가 아니라 구조, 지역, 반려견 동반 조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성공적인 한달살기가 가능합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구조별 + 지역별 임대비 평균과 함께, 실제로 숙소를 찾는 방법까지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

 

지역별 구조·예산 정리 (1개월 기준)

지역 구조 예산 특징
애월읍 원룸형 독채 90~130만 원 기본 주방 포함, 1~2인 + 소형견, 마당 없음
구좌읍 세화·하도 투룸 독채 130~180만 원 마당 있음, 중대형견 가능, 조용한 시골
제주시 노형·연동 투룸 아파트 160~220만 원 도심형, 병원·마트 접근성 좋음, 주차 편리
서귀포 하효·중문 풀옵션 독채 200~300만 원 욕조, 바다 뷰, 고급 숙소 중심, 마당 있음
조천·김녕 복층 독채 120~180만 원 카페와 인접, 바닷가 가까움, 마당 크기 작음

※ 추가비용:
- 반려견 1마리당 5~15만 원
- 청소비 5~10만 원
- 렌트비(펫 동반 차량): 월 60~100만 원
- 전기/수도/인터넷: 5~10만 원

 

숙소 구하는 법-추천 플랫폼 & 팁

제주한달살기닷컴 지역별 숙소 리스트, 애견 동반 필터 有 https://jejulife.net
한달의 삶 감성 숙소 위주, 월 단위 협상 가능 https://onemonth.life
스테이폴리오 중상급 프리미엄 숙소 위주 https://www.stayfolio.com
에어비앤비 가장 많은 선택지, 필터 활용 필수 https://www.airbnb.co.kr
네이버 부동산 (단기 임대 탭) 직접 계약, 월세/전세 형태 다수 https://land.naver.com

검색 시 주의할 점

  • ‘반려동물 허용’이라고 해도 마리 수, 크기 제한, 침대 이용 여부 등은 꼭 추가 확인
  • “소형견 1마리만 허용” 조건이 많음 → 중형견 이상은 마당 있는 독채형 숙소만 검색 추천
  • 카톡, 문자 등 서면 기록을 반드시 보관 (추후 분쟁 방지용)

숙소 문의 시 꼭 물어봐야 할 5가지

  1. 반려견 크기 제한 있나요? (소형만 가능? 마리 수?)
  2. 추가 요금과 보증금 있나요? (마리당 추가비, 청소비)
  3. 마당 이용 가능 여부 (탈출 위험 없는지 울타리 상태 확인)
  4. 실내 활동 제한 있는지? (침대 금지, 배변패드 조건 등)
  5. 주변 인프라 (동물병원, 산책 코스, 펫카페, 마트까지 거리 등 위치)

반려견과 꼭 해봐야 할 일

한 달 동안 제주에 머무르며 반려견과 함께할 수 있는 건 단순히 ‘산책’만이 아닙니다. ‘사는 여행’ 속에서 누릴 수 있는 특별한 순간들이 제주는 꽤 많습니다. 아래는 실제 제주 장기체류 경험자들이 추천하는, 반려견과 꼭 해봐야 할 5가지 활동입니다.

1. 일출 해변 산책 – 하루의 시작을 함께 열다
세화해변, 함덕해수욕장, 외돌개 인근 해안산책로는 이른 아침 햇살과 바다 내음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최고의 산책 코스입니다. 매일 같은 장소라도 빛과 파도는 늘 달라요. 보호자에게는 명상 같은 시간, 반려견에게는 새 자극이 넘치는 공간입니다.

2. 반려견 동반 감성 카페 투어
제주는 전국에서 반려견 동반 카페가 가장 다양한 지역입니다. ‘몽이네카페(애월)’, ‘바다를 담다(세화)’, ‘하도포구 인근 감성카페’ 등은 강아지 간식까지 준비되어 있고, 전용 자리나 펜스가 있는 곳도 있습니다. 커피 한 잔과 바다, 그리고 반려견이 함께 있는 그 조합은 제주살이의 특권입니다.

3. 숲길과 오름 트레킹
사려니숲길, 절물자연휴양림, 송당오름 둘레길은 평탄하고 조용해 반려견과 함께 걷기에 적합합니다. 단, 여름에는 진드기·벌레가 많으니 모기기피제, 목줄, 배변봉투는 필수입니다. 일부 휴양림은 입장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4. 현지 마켓 & 수제 간식 탐방
동문시장, 올레시장 등지에는 반려동물 수제 간식을 판매하는 부스가 있고, SNS에서 찾으면 지역 간식 공방도 쉽게 나옵니다. ‘천연 재료로 만든 제주소 간식’을 반려견에게 선물하는 것도 좋은 추억입니다.

5. 커뮤니티 참여 – 혼자보다는 함께
"제주 반려견 한달살기", "강아지랑 제주살이" 같은 SNS 오픈채팅방이나 카페에서는 현지 병원 후기, 숙소 팁, 펫시터 정보, 카페 추천 등 실시간 정보 공유가 활발합니다. 갑작스러운 상황이나 교통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가입해 두면 좋습니다.

반응형